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SKSDUD
형변환(Casting) 정리 본문
형변환
형변환
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
(타입) 피연산자 : 괄호()를 캐스트 연산자 또는 형변환 연산자라고 하고 형변환을 캐스팅이라고 한다.
System.out.println('a'+26);
System.out.println((int)'a');
System.out.println((char)68);
System.out.println((float)6);
System.out.println((int)9.1234f);
//출력
123
97
D
6.0
9
아래 네 개가 캐스팅을 수행한 것이다.
타입 간의 변환 방법
1. 숫자 3을 문자 3으로 변환 char to int - 숫자에 문자 0을 더하고 char로 형변환한다.
- (char)(3+'0');
2. 문자 3을 숫자3으로 변환 int to char - 문자에서 문자 0을 뺀다.
- '3'-'0';
3. anyType 을 문자열로 변환 - 빈 문자열 ""을 더한다.
- anyType + "";
💬
문자열 리터럴은 " " 안에 아무것도 넣지 않는 것을 허용하며 이를 빈 문자열이라 한다.
문자 리터럴은 반드시 ' ' 안에 하나의 문자가 있어야 한다. (반드시 값 있어야한다! 초기화 시 주의)
4. 문자열을 문자로 변환 - charAt(인덱스_번호) 메서드 사용
String str ="abcd";
char charA = str.charAt(0);
문자 a가 charA에 저장된다.
5.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- Integer.parseInt() 또는 Integer.parseDouble() 사용
String str1="1334556";
System.out.println("정수형으로 바꿔주십시오");
System.out.println(Integer.parseInt(str1));
System.out.println("실수형으로 바꿔주십시오");
System.out.println(Double.parseDouble(str1));
System.out.println("덧셈을 수행해 주십시오");
int a = Integer.parseInt(str1);
double b = Double.parseDouble(str1);
System.out.println(a+b);
// 출력
정수형으로 바꿔주십시오
1334556
실수형으로 바꿔주십시오
1334556.0
덧셈을 수행해 주십시오
2669112.0
마지막 이항 연산자 +를 수행할 때 두 피연산자의 타입이 일치해야 연산이 가능하다.
이때 따로 캐스팅을 해주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자동으로 형변환을 해준다. 이를 자동 형변환이라고 한다.
표현범위가 좁은 타입에서 큰 타입으로의 형변환은 자동으로
큰 타입에서 작은 타입으로는 캐스팅 연산자를 붙여서 쓴다.
1 byte | 2 byte | 4byte | 8 byte | 4 byte | 8 byte |
byte | short | int | long | float | double |
char |
형변환이 가능한 7개의 기본형(왼 ➡ 오)
그래서 중요한 것은...
이걸 다 외워야 하냐는 것인데
아마 외워야 하지 않을까 계속 보다 보면
익숙해지겠지
'프로그래밍 > 개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헤매기(1) - IAM 사용자, S3 버킷, 기본 설정하기 (0) | 2023.06.26 |
---|---|
[소소한개념] float과 double의 차이는 무엇일까? (0) | 2023.06.25 |
[Java]Arrays.copyOf, Arrays.copyOfRange 배열 복사 (0) | 2023.02.04 |
Clean 코드와 bad 코드 리뷰 - for문(1) (0) | 2023.02.02 |